직장인 재테크 투자 필수정보 바쁘니까 뉴스모아 12/4
2018년 12월 04일 화요일 신문브리핑
"감사하는 행위, 그것은 벽에다 던지는 공처럼 언제나 자기자신에게로 돌아온다."
-이어령
<< 정치/외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북한에 대해 나와 100% 협력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함
-이에 따라 미국의 대북 제재에 중국이 전적으로 협조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음
<< 경제 일반 >>
유통·식품 대기업들이 출점 규제와 영업시간 제한이 없는 베트남 투자를 확대하고 있음
-베트남은 과거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 제조업의 생산기지로 주목받았으며, 경제 성장이 지속되면서 이젠 인구 1억 명의 소비시장으로 부상, K유통 K푸드의 수출시장이 되고 있음
3일 블룸버그와 NH투자증권에 따르면 세계 5대 상장 2차전지 기업(1~3분기 누적 출하량 기준)인 일본 파나소닉, 중국 BYD와 CATL, 한국 LG화학과 삼성SDI의 올해 3분기 2차전지사업 관련 매출은 12조417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5% 증가함
-급성장 기업의 대명사로 꼽히는 미국 FAANG(페이스북 아마존 애플 넷플릭스 구글)의 매출 증가율(27.7%)을 앞서는 것으로, 2차전지 기업의 초고속 성장은 전기차 시장의 빠른 확장 덕분임
얍컴퍼니에서 출범한 블록체인 기업 얍체인이 자사 전용 가상화폐인 ‘얍스톤’으로 기내에서 결제할 수 있는 플랫폼을 3일 국내의 한 저비용항공사에 시범 적용했다고 밝힘
-얍체인은 가상화폐 기내 결제를 위해 자체 플랫폼인 ‘얍스카이몰’을 구축했으며, 승객들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로 기내 와이파이에 연결한 뒤 얍스카이몰에 접속해 각종 쇼핑을 할 수 있음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자사의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 ‘AWS 람다’에 현존하는 모든 프로그래밍 개발언어를 지원함
-AWS 람다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구축하는 데 핵심으로 꼽히는 기능이며, 오래된 정보기술(IT) 시스템을 사용하는 공공기관과 금융회사를 적극 공략하겠다는 전략임
<< 금융/부동산 >>
서울보증은이 3일 빌라나 오피스텔과 연립, 다세대주택, 도시형생활주택 등을 대상으로 전세보증보험 상품의 가입기준을 변경했다고 밝힘
-그동안 서울보증은 모든 주택을 대상으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동일단지, 동일면적 기준 최근 월 평균액의 100%를 추정 시가로 인정해 줬지만 빌라나 오피스텔과 연립, 다세대주택, 도시형생활주택 등을 대상으로는 이달부터 80%까지만 인정해줄 계획임
3일 서초구가 서울 재건축 최대어로 꼽히는 반포주공1단지 1·2·4주구와 신반포4지구의 관리처분계획을 각각 인가함
-반포주공1단지 1·2·4주구는 사업비가 2조6000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정비사업지로, 이들 단지는 최고 입지 여건을 갖춘 데다 단지 규모도 매머드급이어서 재건축 후 서울의 최고 부촌 자리에 오를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함
국토교통부가 자금 조달방법을 명확히 하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개정안을 개정해 오는 10일부터 시행함
-매수자는 주택취득자금 조달계획서를 작성할 때 자기자금과 차입금 두 가지로 나눠서 써야 하며, 현재 자기자금에는 예금, 부동산 매도액, 주식 채권, 보증금 승계, 현금 등만 쓰면 됐지만 이번에 ‘증여·상속 등’의 항목이 추가됨
<< 국제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트윗을 통해 “중국이 미국산 자동차에 부과하는 40% 관세를 낮추고 없애는 데 동의했다”고 밝힘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전날 정상회담에서 통상전쟁을 90일간 휴전하기로 합의했을 때는 발표되지 않았던 내용임
중국 전기차 제조 업체들이 전기버스 등 세계 상용차 시장을 장악하고 있음
-중국 업체들의 전 세계 전기버스 점유율은 99%에 이르며,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 기업들이 정부의 보조금 정책을 등에 업고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고 2일(현지시간) 보도함
중국 한국 대만 등 아시아 일부 국가가 자국 해운업계에 막대한 보조금을 지급해 글로벌 해운시장을 왜곡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일(현지시간) 보도함
-중국개발은행은 지난해 국유기업인 코스코그룹에 260억달러를 지원했고, 대만 정부는 2016년 12월 적자에 허덕이던 국영선사 양밍해운에 19억달러 규모의 지원금을 투입했으며, WSJ는 한국 정부가 대우조선해양과 현대상선에 각각 100억달러와 50억달러의 공적 자금을 투입한 사실도 언급함
<< 오늘 신문의 경제관련 용어 >>
*관리처분계획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해 정비사업을 시행하는 경우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제외한 나머지 재개발 재건축 및 도시환경정비사업의 경우에 사업 시행 후 조합원들에게 분양되는 대지나 건축시설에 대한 배분계획인 관리처분계획이 반드시 수립되어야 함.
도시개발사업의 시행 방법의 하나인 환지처분의 경우 평면적인 토지를 기준으로 한 환지계획을 수립하는 반면 정비사업의 경우에는 건물의 개념까지 포함해야 하므로 조합원에 대한 분양처분 등을 포함하는 관리처분계획의 수립 인가가 필요함.
정비사업의 시행자는 규정된 기준에 따라 관리처분계획을 작성해야 하며 관리처분계획의 수립절차는 사업시행인가 이후에 다음과 같이 진행됨.
분양신청의 통지, 공고(사업시행자가 토지등 소유자에게)
분양신청(토지등 소유자가 사업시행자에게)
종전 및 분양예정 자산의 평가(감정평가업자)
관리처분계획서 작성(사업시행자)
조합총회 의결(의결방법은 정관으로 정함)
공람, 의견청취(사업시행자가 토지등 소유자에게)
인가신청(사업시행자가 시장·군수에게)
통지(사업시행자가 분양신청자에게)
사업시행자는 정비사업의 시행으로 건설된 주택을 관리처분계획에 따라 공급하고 남은 주택에 대하여는 주택법의 규정에 따라 공급대상자외의 자에게도 공급하게 됨.
-정보 출처 : (서울특별시 알기 쉬운 도시계획 용어, 2016. 12.,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
2018년 12월 4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오늘 비 그치면 기온 크게 내려가→ 4일 기온은 포근하지만 고비사막, 내몽골 황사 습격, 수도권-중부 미세먼지 ‘나쁨’. 5일 서울 아침 영하 4도 등 전국 기온 크게 내려가.(세계)
2. 역시 ‘12월은 위험’ → 만성질환자 119 이송 건수 12월 달에 가장 많아. 가장 적은 2월, 5월과 비교하면 20%나 많아. 12월 다음은 8월. 소방재난본부 분석.(헤럴드경제)
3. 중국 통해 북산산 식품 구입은 통일부장관 승인 사항? → 남북교류협력법 제13조 1항. 북한산 조갯살, 까나리 구입한 탈북민 벌금 100만원. 과도한 적용 여론.(문화)
4. 경찰 조사 받을 때 진술 내용등 메모 가능 → 지난 10월 관련법 개정으로 ‘메모권’ 있지만 알려주지 않으면 대부분 몰라. 경찰이 먼저 메모장 제공하는 방안 시범 운용 시작.(한국 외)
5. ‘살살이꽃’? → 귀화 식물인 ‘코스모스’의 우리말 이름?(문화, 칼럼)
*그러나 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가생물종정보시스템에는 등재 안된 비공식 명칭인 듯
6. 300만원 들여 딴 드론 자격증, 무용지물? → 한국교통안전공단 2013년 처음 도입. 지난 9월 기준 7717명 취득. 연말 1만명 돌파 전망. 취업 등 활용처는 극히 제한적.(아시아경제)
7. 겨울난방 이제 시작인데 → 11월 미세먼지 전년 동월대비 20% 상승, 역대 최악… 중국 정부의 들쭉날쭉한 환경정책, 우리의 탈원전 정책으로 석탄 사용량 증가 등 이유.(문화)
8. 2017년생 기대수명 → 82.7세. 男79.7년 女85.7년… 남여격차는 줄어. 1970년생 보다는 기대수명 20세 늘어.(동아 외)▼
9. ‘지타하라’ → 최근 일본에서 업무량 등 다른 근무 여건은 그대로인 채 ‘야근 금지’가 확산되면서 중간 관리층이 잔무를 도맡아 겪게되는 고통을 뜻하는 신조어.(동아)
*‘시간 단축(지탄·時短)’ + ‘하러스먼트(Harassment 고통)’의 합성어
10. 기타 → ①김정은 연내 답방 3대 변수는 ▷반대급부 ▷남측 여론 ▷준비 시간 ②48.4%’… 文 대통령 지지율 집권이후 최저 경신. 리얼미터
대한민국 대표 뉴스 큐레이션 2018
12월 4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민주당은 당 안팎에서 제기되고 있는 ‘조국 민정수석 책임론’을 사법개혁 흔들기로 규정하고 조 수석 힘 실어주기에 나섰습니다. 반면 야당은 조 수석 경질로 청와대 기강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청와대 기강을 니들이 왜 잡으려고 하는데? 딴 사람은 몰라도 니들은 닭쳐~
자유당 원내대표 후보가 난립하고 있지만, 정작 던지는 메시지는 대체로 비슷합니다. '보수대통합' 기치 아래 '태극기 부대'를 껴안자는 것인데, 차기 전당대회를 앞두고 대거 입당하고 있는 '태극기 부대'를 의식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조원진부터 안철수까지 다 함께할 수 있다고 했다며? 참으로 통도 크시지...
민평당의 박지원 의원이 “조국 민정수석의 사퇴를 반대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박 의원은 조 수석이 물러난다면 사법개혁이 물 건너갈 수 있다고 지적하였고, 조 수석에게는 뜬금없는 발언을 삼가라고 주문했습니다.
한 수 앞을 척 내다보는 게... 역시 정치구단의 포스가 느껴지기는 해~
정의당이 자유당이 내놓은 ‘유치원 3법’에 대해 특혜를 안겨주는 ‘나쁜 법인화법’이라고 비판하자 한유총이 즉각 반박하고 나섰습니다. 한유총은 “개인이 설립해 운영하는 사립유치원에 대한 몰지각을 드러낸 것”이라고 맞섰습니다.
아마 한유총 입장에서는 자유당 빼놓고는 전부 두눈박이 괴물로 보일 테지 뭐...
청와대 특별감찰반을 둘러싼 비위 의혹이 일파만파 커지고 있습니다. 애초 파문은 특감반의 검찰 소속 김모 수사관이 경찰 수사에 개입한 사실이 불거지며 시작됐지만, 다른 특감반이나 정부 부처로 의혹이 번지는 분위기입니다.
덮지도 말고, 두둔하지도 말고 있는 그대로 밝히고 처분하는 걸로~
청와대 직원들의 잇따른 기강해이 사건을 두고 문재인 대통령이 강도 높은 쇄신을 다짐하면서 '쇄신 수위'에 눈길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번 일이 국정운영 위기로까지 번진 만큼 문 대통령이 어디까지 책임을 물을지 여부가 주목됩니다.
48.4%라는 40%대의 지지율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잘 아시리라 믿습니다~
정부가 남북정상회담을 정례화하고 남북기본협정을 체결해 남북관계의 제도화 구상을 담은 남북관계 5개년 계획을 내놨습니다. 올해 내 종전선언을 하고 여건이 조성되면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을 재개한다는 계획도 재확인했습니다.
차근차근 한발 한발 내딛다 보면 통일의 종착지에 도달하지 않겠어~
한유총이 합리적인 '출구방안'을 의제로 정부에 협상을 요구했습니다. 협상의제로는 ‘교육과정 편성 운영 자율권 확보, 공공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사립유치원 모델 정립, 사립유치원 특수성을 고려한 시설사용료 인정’ 등을 제시했습니다.
그동안 온갖 세재해택은 다 받아 놓고... ‘개인사업자 사유재산’ 타령은 뭐니?
사법행정권 남용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박병대·고영한 전 대법관의 구속영장을 청구했습니다. 전직 대법관이 범죄 혐의를 받아 구속영장이 청구되기는 헌정 사상 처음으로 이들의 구속 여부는 내일 결정될 전망입니다.
헌정 사상 처음이 아니라 단군 이래 처음이라도 단죄할 건 해야지 않겠어?
국민 절반 이상은 사법농단에 연루된 법관을 탄핵하는 데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리얼미터에 의하면 탄핵 찬성 응답이 52.7%, 반대 응답은 34.0%였고 모름·무응답은 13.3%로 나타났습니다.
탄핵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이유가 뭔지 한번 물어봐 주면 안 될까? 신기하네...
국내 최고 로펌인 김앤장은 그동안 수많은 사건에서 자본과 권력의 편에 서서 든든한 해결사 역할을 마다치 않았습니다. 특히, 힘 있는 전직 관리들을 이용해 대한민국의 권력 핵심부를 장악했다는 비판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해결사 노릇 하다 보니 두목이 되고 싶었던 모양이지... 딱 조폭 수준이라니까~
아베 총리가 한일관계와 관련해 "박근혜 전 대통령 때가 지금보다 나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일본의 언론에 의하면 아베 총리가 최근 한국의 '화해·치유재단' 해산과 관련해 이 같은 말을 했다고 전했습니다.
니들이 그러고 놀 때 우리 국민은 속 터져 죽는 줄 알았다니까... 그건 몰랐지?
오늘까지 오락가락 이어지던 비가 그치면 찬바람이 불면서 크게 추워지겠습니다. 이번 비가 그치고 주 후반에는 한파 수준의 추위가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이며 낮 최고기온도 영하권에 머물면서 본격적인 겨울추위가 예상됩니다.
다들 독감백신들은 맞으셨나요? 김장만 겨울 준비가 아니라 건강도 챙기세요~
이해찬, "예산안-선거제 연계 야당에 경악 금치 못해". 음...
안철수 측 "함께 할 수 있다는 나경원, 소가 웃을 일". 음메?
한유총 폐업한다더니 돌연 "협상하자"는 치고 빠지기?. 크~
비·황사·미세먼지 섞여 오늘 최악의 날씨 될 듯. 에궁~
평화는 웃음으로부터 시작됩니다.
마더 테레사 -
가만히 생각해 보세요.
가정의 평화도 바로 웃음으로부터 시작한다는 것을 오늘 아침 현관문을 나서면서 바로 느낄 수 있었을 것입니다.
가정의 평화는 곧바로 내가 일하는 곳의 평화로 전파되지 않던가요?
이렇게 웃음이라는 평화의 무기는 강력한 것입니다.
오늘 아침 이 무시무시한 평화의 무기를 들고 삶의 현장으로 달려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변함없이 당신이 함께여서 정말 고맙습니다.
[류효상의 고발뉴스 조간브리핑]
------
[팩트파인더 정치] factfinder.co.kr
@ 헌정 사상 초유의 전직 대법관 영장 청구 → 어떤 결과가 나오든 후폭풍 불가피
↳ 검찰, 박병대·고영한 前 대법관 사법 농단 사건의 주범으로 지목 : 임종헌 전 차장 개인 일탈 아닌 조직적 범죄 판단
↳ '제식구 감싸기' 비판 부담스런 법원이 한명은 구속 영장을 발부할 수 밖에 없다는 계산 아래 동시에 영장 청구 관측
↳ 양승태 전 대법원장도 공범으로 적시·강제수사 초읽기 : 두 사람 구속영장 발부하면 초유의 전직 대법원장 구속 가능성
▲ 검찰 "양승태, 日기업 변호사 만나...징용재판 지연 직접 개입 정황" : 집무실·음식점 등 세차례 회동, 전원합의체 회부 여부도 알려줘
▲ 윤병세 前 장관, 취임 전부터 日 전범기업과 징용소송 논의 : 검찰, 박병대·고영환 영장에 적시 (한국 1면)
▲ ‘적폐 수사’에 지속적으로 올인하는 국내 상황과 사법 불신이 아니라면 가능한 일이겠느냐는 생각이 들어 참담(중앙 사설)
☞ 영장전담판사는 진보나 보수의 이념에 치우치지 않고 제시된 사실과 증거만 갖고 법관의 양심에 따라 최선의 결정을 내려야 할 것
↳ 진보 언론은 김명수 대법원장의 '엉거주춤'한 스탠스(뒷북의견 수렴, '지록위마' 비판 판사 재임용 위기 등)가 개혁을 후퇴시킨다고 지적
[북미 정상회담·김정은 답방 관련]
※ 트럼프 "시진핑, 북한문제 100% 협력 약속"...중국은 "비핵화·평화체제 병행" 되풀이 → 정상회담 이후 양측 발언 다르자
↳ '트럼프 특유의 부풀리기' 분석 : '중국 주도로 대북제재 허물어졌다'는 미국 조야의 비판 등을 의식한 발언이라는 것
▲ 앤드루 김-北김영철 판문점서 5시간 만났다 : 어제 북미 정상회담 의제조율 (매경 1면)
↳ 김정은 답방할때 제주갈듯...지난달 귤 북송때 일정 조율 : 한라산 백록담 헬기로 오를듯...원희룡 지사 주도로 실무작업
▲ 김정은 연내 답방 변수 ①반대급부 : 한미 정상 '대북제재 유지'에 얻어갈 것 없다 ②남측여론 : 규탄 집회속 답방땐 국제망신
↳ ③준비시간 부족 ④북한 군부 내 강경파 반대 → 결단 땐 정상국가 지도자 이미지 과시, 북미 협상 진전 후 답방이 최상의 시나리오
▲ 문 대통령 "한발 두발 전진하다보면 평화 도달" : 뉴질랜드 동포간담회서 강조, 최측근 양정철 형도 참석
☞ 문 정부가 나라의 경제 파국은 외면하고 북한 문제에만 매달리면 머지않아 심각한 기로에 직면하게 될 것(조선 34면)
↳ 자영업자 문 대통령 지지율, 두달만에 60% → 37.8%(리얼미터) : 전문가들 "정책기조 안바꾸면 자영업자 민심 이반 지속될 것"
▲ 대북정책 계획서 '천안함-연평도 책임조치' 뺐다 : 문 정부 5년 적용 남북관계 기본계획 "북핵 단계적 해결" 일괄타결서 후퇴
[조국 민정수석 거취 논란]
※ 친문 일제히 '조국 구하기' : '사퇴론 = 정권 흔들기' 규정해 적극 방어하는 양상
△ 이해찬 "특감반 비위와 연계 없어" 靑 참모들 "문제 없다" ...여권 '사법개혁 상징' '문 대통령 분신' 인식
↳ 이재정 민주당 대변인 “크게 실망하신 국민 여러분께 깊은 사죄 드린다”는 공식 논평 발표 하루만에
↳ 친문들 '일사불란'하게 입장 정리 배경은...문 대통령, 순방중 조국 수석 유임 시사 : 경질 땐 국정 과제 추진 등 동력 급감 판단
☞ 여야, 정국 주도권 다툼으로 확전 : 아권, 조 수석 경질론 총공세...범여권 평화·정의당도 비판 기류
↳ 특감반 비위 추가 확인 땐 '경질론' 탄력 받을수도...공직기강 해이를 넘어 권력형 범죄로까지 비화될 수 있는 사안
▲ "다른 특감반원과 5차례 골프, 사업가가 돈 내" : 비위 드러난 검찰 출신 수사관 진술 (동아 5면)
▲ 조국 "실컷 두들겨 맞으며 일한 후에 자유인 되겠다" : 이석현 의원에게 입장 밝혀
※ 청와대, '자녀 병역 기피 의혹' 조상희 법률구조공단 이사장에게 미국 영주권 두 아들 '입대서약서' 제출 받고 임명(경향 10면)
[기타 뉴스]
※ 예산 수정안 마련 실패 9일까지 처리 불발 가능성 커져 내년 1월 1일 지나면 준예산 집행 → 악습 되풀이
↳ 여야, 470조 슈퍼예산 극한 대립 △여야 예결위, 예산 밀실(졸속)심사 △민주당, 본회의 상정 △바른미래·민평당·정의당, 선거구제 개편과 연계·농성 돌입
※ 사립유치원 투명회계 '유치원 3법 발목 잡는 한국당 : 개정안 첫 토론회·한국당 통합회계 반대에 결론 못내 정기국회 통과 어려워
↳ 한국당 법안은 교육비 회계 중 학부모 부담금은 일반 회계로 떼내고 정부 지원금 명목도 그대로 두자는 것
▲ 개정안 발의한 한국당 의원 21명 중 16명 지역구 국공립 취원율 평균 25.5% 못 미쳐...사립유치원 입김이 강한 지역 추론 가능
※ 홍남기 간염 병역면제...1년전에 질환 없어 : 공무원 임용 1년뒤 면제 판정 받아...오늘 국회 청문회서 논란될 듯
↳ 서면 답변서에 1기 경제팀과 차별되는 경제관이나 정책궤도 수정 의지 없어 '전임자 판박이'인데 뭐 하러 교체했냐고 비판
o 노사분규 현장 '테이저건' 사용 : 경찰 '물리력행사 지침' 마련, 공권력 강화 방안으로 활용
o 4억 뜯긴 윤장현, 사기여성 자녀 취업청탁 혐의 : 경찰 “지인 자녀로 속여 학교 등 전화” 검찰은 “공천 염두 송금 의혹” 출석 요청
-----
[팩트파인더 경제] factfinder.co.kr
@ 문재인정부 경제정책...긍정 22% 부정 43% △최저인금 인상 53% 부정적 △소득주도성장 51% 긍정적 △대통령 지지율 47% (중앙 1면)
↳ 일자리·부동산에 공들였지만 낙제점 평가 : 30~39세 부동산 정책 가장 불만 “기업·노동정책도 실패” 응답 많아 잘했다고 꼽은 건 복지·없음 순
↳ 문 대통령 지지율 두달 새 64 → 47% : 자영업자·주부들 부정 평가 급증, '이영자' 이어 강원권 지지율 하락, 중도층도 공약 성과없자 지지 철회
▲ 종업원 둔 자영업자도 폐업 36% 증가(9월까지 전년대비) : 올해 月평균 6만명 늘어 고용참사 아니라 주장했지만 실직·부업자 수도 1년새 급(조선 1면)
☞ 내년이 더 걱정...수출 전선 곳곳 경고등 → 최악을 대비한 비상한 정책 대응이 절실
↳ 11월 전체 수출의 25% 차지하는 중국 수출 감소, 전년 대비 2.5% 줄어든 136억 5,000만달러 25개월 만의 마이너스
▲ "삼성 반도체, 4분기 영업이익 13% 줄어들 것" : 증권사 6곳 전망치, SK 하이닉스도 하락 국면
▲ 국내 완성차 11월 수출·내수 다시 감소세 : 현대 4.2%·기아 3.8% 판매 감소, 한국GM 내수 20% ↓
▲ "20년간 닭 40만 마리 튀겼지만...지금이 가장 힘들다"(한국 경제상황 축소판): 최저임금에 임대차 분쟁도 겹쳐, 주52시간제에 퇴근길 치맥 실종(중앙 2면)
[주요 이슈]
※ 중국, 미국산車에 부과하는 40% 관세 삭감·철폐 : 트럼프, 정상회담 하루만에 트윗...코스피 1.7%↑ 등 아시아 증시 상승
☞ 국내 첫 자율차 만든 서승우 서울대 교수, 제자들과 실리콘밸리行 : 기술·인재 활용 기업 못찾고 당장 돈 안된다고 투자 외면
↳ "해외 투자자들, 카풀도 안되는 한국 보더니 투자 거부" : 한국엔 규제 많아 투자 못받아 미국서 자율주행 택배 시범서비스(조선 1면)
▲ 현대차, GM·포드·닛산·퀄검과 자율주행차 눈 역할하는 쌍방향 기술(C-V@X) 컨소시엄 구성 : 자율주행 경쟁력 높여 선점
※ 상의, '상법 개정안' 경제계 의견 제출(감사위원 분리선출·집중투표제 신중 등)...참여연대, 멕시코식 집중투표제는 찬성·미일 도입 차등의결권 반대
▲ 주52시간제 계도기간 이달 종료..."내달부터 범법자 될판" : 경사노위 협의기구 구성 못해 국회 연내 법안처리 사실상 무산(동아 1면)
※ 당정, 편의점 거리제한을 두기로 합의...지난 2000년 폐지된 후 18년만에 부활 : 출혈경쟁 방지·담배소매 지정거리 규제(100m 이내 금지) 적용
※ 국내 첫 영리병원(녹지국제병원), 개원 허가로 가닥 : 원희룡 지사 "금주내 결정", 경기침체와 불허 결정땐 1천억대 소송 등 외교문제 비화 부담
※ 반포1·신반포4…재건축 부담금 피한 강남막차 `시동` : 관리처분 인가…사업추진 속도, 두곳 합쳐 9000가구 매머드급, 대출규제·시공사 소송 변수도
▲ 서울 전세값 5주 연속 하락 : 16억 하던 반포아파트 전세 11억, 송파·개포·고덕·마포 등 대규모 입주 앞둬...공급 충분
▲ 과열지구 3억 이상 집 살 땐 증여·상속 금액 신고 의무화...10일부터 시행
※ 프랑스 '노란조끼'(유류세 인상 반대 시위)...마크롱 최대 위기, 국가비상사태 검토 : 중산층·일반시민까지 가세, 폭력시위로 문화재도 파손
★ 성장금융 뉴스 브리핑 → PE·VC 운용사, 벤처·중소기업 뉴스 등
[경제 동향]
① 코스피 2,131.93(▲ 35.07) ② 코스닥 709.46(▲ 13.70) ③ 환율 1,110.00원(▼ 12.0) ④ 유가 65.56(▼ 0.03) ⑤금시세 43,947.89원(▼ 215.60)
▲ 외인·기관 쌍끌이(3개월만에 1,000이상 동반 순매수) '연말 랠리' 기대감 : 무역분쟁 휴전에 코스피 1.6% ↑ 2차 북미회담 등 호재 앞둬
▲ 미스터피자 증시 퇴출 '유력'...기업심사위, 상장폐지 결정 : 코스닥시장위가 최종 판단, '기술유출 의혹` 톱텍 매매정지
▲ 해외주식 거래 300억달러를 돌파 : 거래규모 7년간 10배 폭증, 국내증시 시들하자 해외로, 아마존·애플·알리바바 `빅3`
▲ 한은, 기준금리 인상에도 국고채 10년물 0.8bp 되레 하락, 장단기 금리차 26개월만에 최저 : 경기위축국면서 금리 올려 통화정책 약발 안먹혀
o LG화학·에쓰오일·GS칼텍스, 내년 업황둔화에도 5년간 14조 투자결정 : 환경·노동규제 완화 강력 요청...성윤모장관 "해결 끝장보겠다"
o 현대重 내년 흑자전환 시동 : 선박운임 1년새 180% 급등, 올 24척 수주·글로벌 LNG선 발주량 절반 싹쓸이, 구조조정으로 비용절반 ↓
o 2차전지 이익률, 글로벌 車·철강기업 추월...'포스트 반도체' : 전기차 시장 "2020년까지 매년 160%씩 폭풍 성장할 것"
▲ "세계 전기버스 99%가 중국산" : 최대 수요처는 中 지방정부, 막대한 보조금도 '무기'
[정부 정책]
※ 천문학적인 혈세 쏟고 환경단체-지역 반대(환경공포)로 중단된 프로젝트 △기장 해수담수화시설·나주SRF 발전소 가동중단 △당진 에코파워, 석탄 → LNG로 변경 등
↳기장 해양정수센터 : 11Km 떨어진 고리원자력 발전소 있다고 수질검사 400회 통과·천연 라돈 등 美기준치보다 훨씬 낮지만 주민 "무조건 안돼"
o "유성기업 폭력, 불법 점거 엄중 대응"...이재갑 고용, 민노총 탈법행위 강력 비판
o "원전해체(탈원전 대안) 시장 진출한다는 한수원, 13년 지나도 1건 수주 불투명" : 딜로이트 용역보고서
o 기재위 P2P대출 세제안 확정 : 불법대출 등 부실 우려에 세제혜택 내년서 2020년으로 시행 1년 연기, 적용기간도 당초 2년서 1년으로 축소
o 통계청 '2017 생명표' : 2017년생 기대수명 82.7세, 10년 전보다 3.5년 ↑ 폐렴 사망 확률은 3배 이상 ↑
——-
주요 경제 뉴스 요약 12/4
* 뉴욕증시, 12/3(현지시간) 美/中 무역전쟁 휴전 합의 등으로 큰 폭 상승… 다우 +287.97(+1.13%) 25,826.43, 나스닥 +110.98(+1.51%) 7,441.51, S&P500 2,790.37(+1.09%), 필라델피아반도체 1,272.74(+2.67%)
* 국제유가($,배럴), 감산기대·무역긴장 완화 등에 급등... WTI +2.02(+3.97%) 52.95, 브렌트유 +2.23(+3.75%) 61.69
* 국제금($,온스), 무역분쟁 휴전에 따른 달러 약세에 상승... Gold +13.60(+1.09%) 1,239.60
* 달러 index, 美/中 무역전쟁 휴전 합의 속 하락... -0.27(-0.29%) 96.99
* 역외환율(원/달러), -2.67(-0.24%) 1,110.09
* 유럽증시, 영국(+1.18%), 독일(+1.85%), 프랑스(+1.00%)
* 美·中 통상 휴전 낭보... 코스피, 이달 2200고지 넘본다
* 미중 정상 합의로 공포심리로 완화... '안도 랠리' 온다
* "미국車 관세 없애기로 약속" 베일 벗는 시진핑의 양보
* 주가 비실대던 철강, '휴전' 최대 수혜주로
* 물만난 해외주식 거래... 사상 첫 300억弗 넘었다
* 경동나비엔 "때는 왔다"... 보일러 성수기 겨울철에 '휴전', 中매출 회복 기대에 주가 반등
* "최악 피했다"... 한숨 돌린 中 펀드
* "10년물 금리 더 떨어진다"... 장기채권펀드 매력 '쑥'
* LNG선 훈풍... 현대重 내년 흑자전환 시동
* "내년 영업익 3년만에 최대증가"·가정간편식 '쑥쑥'... '상차림' 끝낸 음식료株... 이젠 오를때 됐나
* 중간·분기배당 채택 76곳↑... 삼성전자가 80%
* 에스와이패널 "결핵환자 병동, 유엔제재 면제 환영"
* MP그룹 증시 퇴출 '유력'... 기업심사위, 상장폐지 결정
* 삼익악기 에너지사업 진출... 반등 희망가, 본업 악기사업도 개선 조짐, 면세점 등 적자사업도 정리
* 완화된 사행산업 매출총량규제... 탄력 받은 강원랜드
* 미래에셋대우 "해외 IPO강화... 내년 공모 1조 이상 자신"
* KB증권, 윤경은-전병조 대표 임기 임박 '투 톱' 체제 유지할까?
* 26일 코스닥 상장 유틸렉스 권병세 대표... "면역항암제, 2022년 美 상용화 기대"... 13~14일 일반청약
* 글로벌 PEF '풋옵션 행사' 대응... TBH글로벌, 1000억 CB발행
* '경영진 배임 혐의' 톱텍, 오늘부터 거래정지
* 조선 빅3, 고부가선박 수주 막바지 고삐 죈다
* 한라, 성장성 확보 불구 '불안한 재무구조' 숙제
* 동화약품 '활명수' 올해 매출 423억... 신기록 유력
* CJ ENM, 드라마 잇단 대박에 '훨훨'
* 中 조강생산량 사상 최고치... 韓 철강업계, 실적 우려 확산
* '2차전지 빅5' 매출증가율, 美 FAANG도 넘었다... 3분기 28% VS 27%로 추월
* 초고속 질주하는 2차전지... 2차전지 이익률, 글로벌 車·철강기업 추월... '포스트 반도체' 노린다
* 車업체, 배터리 직접생산... 코발트값도 변수... 2차전지 기업 성장 저해할 복병
* 질곡의 포스코 리튬사업, 8년 만에 '서광'
* '흑룡' 입학 '황금돼지' 출산... 들뜬 키즈업계
* 백화점 공식 깬 롯데백화점... 증축 끝낸 안산점 7일 재개장
* [인포스탁 모바일주식신문 '주요뉴스클리핑서비스' 입니다. 매일 2회 휴대폰으로 개별전송해드립니다.]
* LCC업계 지방공항 '삼국지'…맹주는 누구?
* 수소버스, 새해부터 전국 달린다… ‘맹물로 가는 차’ 꿈 이루나
* 현대백화점그룹, 한화L&C 인수 완료… 현대L&C로 새 출발
* 기술수출 순풍 바이오, 신약은 개점휴업
* 롤러코스터 탄 점안제 가격, 제약사 반발로 인하후 인상
* 한국콜마·애터미 '화장품 특화 전달 기술' 특허 획득
* 셀트리온, '자가주사' 램시마SC 유럽허가 신청
* 김현석의 QLED 반전 드라마... 삼성 TV 점유율 30% 육박
* 美 IT매체 "삼성-버라이즌, 내년 상반기 美시장서 5G 스마트폰 출시"
* 스마트공장·로봇·원격조종… 5G로 더 빠르게
* 막오른 5G시대... 일반 소비자는 내년 3월 체감... 20배 빠르고 전송량 100배 많아져
* 내년 스마트폰 스크린 주인공... '노치'보다 '피어싱'을 주목하라
* 60년 된 프로그래밍 개발언어도 지원... AWS, 공공기관·금융사 공략 나서
* 대형화·무선·렌털... 확바뀐 가전시장 트렌드... TV 10인치 커지고, '新4종세트' 판매 '껑충'
* 삼성重, 친환경 스마트십 기술 확보... 美서 조선업계 첫 인증... 이산화탄소 배출량 실시간 측정
* 여권·항공권없이 얼굴인식 후 탑승... 美애틀란타공항 생체인식 도입
* 글로비스 중고차 경매, 18년만에 100만대 돌파... 중고차 시장 투명화에 기여
* KT유선망 통신사 공동 사용... 아현지사화재 계기 이용료 협상
* 먹통된 軍통신망, 유선 백업망은 없었다
* 유화업계 14조 투자 결단 "규제 풀어달라"
* D램값 하락·수요둔화... 삼성 반도체 실적 꺾인다
* SK이노, 美 '셰일오일' 공격투자 결실
* 1조 '세금폭탄' 맞은 재계... 소비자에 '불똥?'
* 잠깐 달리던 완성차 실적, 다시 후진
* 개소세 인하에도 내수 '살얼음'... 국내 5개 완성차 업체, 11월 판매 0.3% 줄어든 14만대
* 한국GM, 올해 10만대도 못파나
* 페이스북, 韓에서도 동영상 중간광고 도입... 3분 이상 영상만 우선 적용
* 홍남기 주류 종량세 검토… '만원에 4캔' 맥주 사라지나
* 주담대 잦아들자... 은행들 "기업고객 모시자"
* 얼마 만이냐, 3%짜리 정기예금... 지난달 한은 기준금리 인상 여파
* 車에 스치기만해도 보험금? 보험·대부업 허위광고 주의
* 금융위, 금융소비자 TF 출범... "내년 1분기 금융소비자보호 종합방안 내놓겠다"
* "카톡으로 회비 투명하게 관리"... 카카오뱅크 '모임통장' 선보여
* 편의점 출점제한 '담합'이라더니... 대통령 한마디에 입장 바꾼 공정위
* [인포스탁 모바일주식신문 '주요뉴스클리핑서비스' 입니다. 매일 2회 휴대폰으로 개별전송해드립니다.]
* 국내 첫 영리병원... 개원 허가로 가닥... 원희룡 지사 "금주내 결정"
* 롯데 3조원·쿠팡 2조원 투자… 온라인 쇼핑시장 '錢의 전쟁'
* 한국엔 없는 '그랩 배송' 앞세워 베트남 공략 나선 롯데
* 中서 발뺀 롯데마트·이마트... '1억 젊은 시장' 베트남서 보폭 넓힌다
* 숨막히는 출점·영업규제... "해외서 돌파구 찾자"
* "원전해체 시장 진출한다는 한수원, 2031년돼도 수주 고작 1건", 딜로이트 용역보고서
* 앤드루 김-北김영철, 판문점서 5시간 만났다... 어제 美·北 정상회담 의제 조율
* 김정은 답방할때 제주갈듯... 지난달 귤 북송때 일정 조율
* 정부 '비핵화-남북관계 발전 병행' 명문화... 남북관계발전 5개년 계획 발표
* "北 18~20일 일정 싹 비워…W호텔 몇층 비워져" 김정은 방문설들
* 멍석 깔렸는데 결정 못하는 김정은... 왜?
* 北 철로 일부 유실… 버스로 조사
* 좌절하는 한국 4차산업혁명... "도로법·車관리법 규제 거미줄... 한국서 자율차 주행은 기적", 7중고 시달리는 자율차 개발
* 상의 상법 등 3法 신중처리" 호소하자, 참여연대 "차등의결권은 親재벌" 압박... 이념논쟁 치닫는 상법개정안
* "겨우 1조 감액했는데 증액 요구는 10조"... 小 소위 예산심사도 '난항'
* 文의장 압박에도 예산안 처리 '안갯속'... 野4당, 예산안 본회의 불참
* 靑 '광화문 대통령 집무실' 보류 검토
*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혁' 법안, 여야 내년 2월까지 처리 합의
* '유치원 3법' 결론 못내... 연내 통과 '빨간불'
* 검찰, 사상 초유의 前대법관 2명 구속영장
* 자영업자 文지지율, 두달만에 60%→37.8%
* 인공위성도 택배처럼 모아서 쏜다… 로켓 하나에 위성 64기 실어 우주로
* 프랑스서 들불처럼 번지는 '노란조끼'... 마크롱 최대 위기
* 中, 담판 시작하자마자 30분간 양보안 쏟아내... 트럼프-시진핑 회담 뒷얘기
* "美·中·러, 군축 정상회동 확신", 트럼프 트위터서 밝혀
* 카타르, 내년 OPEC 탈퇴한다
* 아마존, 대형마트 無人매장 기술 시험 중
* "세계 전기버스 99%가 중국산" 거대 내수시장 앞세워 '전기차 굴기' 가속페달
* 거침없는 日 기업... 설비투자 8분기 연속 증가
* 하계 5단지 등 노후임대 재건축 속도낸다... 서울시, 주택공급계획 곧 발표
* 과열지구 3억 이상 집 살 땐 증여·상속 금액 신고의무화
* 덜 올랐던 서울 단독주택 '반짝' 상승
* 뚝뚝뚝… 석달새 3억, 전세 떨어지는 소리
* '4억 로또' 래미안리더스원, 10여가구 최종 미달... 예비당첨자 추첨 미계약 발생
* 반포주공1·신반포4... 2.8조 부담금 피했다
* 반포1·신반포4 재건축 인가... 한강변 5300가구·3000가구 '매머드급'... 강남 부촌지도가 바뀐다
* 내년 하반기 이주... 당분간 전세값 영향 없을듯
* 마지막 관문 넘은 강남 재건축... 집값 다시 들썩일까
* [오늘의 날씨] 비 그친 뒤 중국발 황사... 중부·호남 미세먼지 '나쁨'
——-
[한투증권 진홍국] 월간 제약/바이오 12월호 발간
▶12월 탑픽은 한미약품(매수, TP: 600,000원)입니다
-올해말 및 내년초 롤론티스 BLA신청/포지오티닙 혁신치료제 지정 등의 모멘텀
-스펙트럼 견조한 주가 vs. 한미약품의 기간조정
-내년에도 다양한 R&D 모멘텀 기대
▶이달의 아이디어 콜 신설: 쎌바이오텍(049960, Not Rated)
-국내 1위 프로바이오틱스 업체
-최근 마이크로바이옴 기술을 이용하여 장질환 치료제, 대장암 치료제 등을 개발하고 있음
-마이크로바이옴 국내외 트렌드 기술로 부각중/비피도 상장예정, 국내 1호 마이크로바이옴 상장업체/종근당바이오, 일동제약 등 타 업체들의 사업진출 이어짐
-마이크로바이옴이 시장의 주목을 받으면서 쎌바이오텍에 대한 관심이 증대할 것
-Fnguide 컨센서스 기준 2018/2019년 PER 14.5x/13.9x로 마이크로바이옴 기술이 기업가치에 반영되어 있지 않다는 판단
자세한 내용은 리포트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링크: https://bit.ly/2EcI7L9
——-
이슈&섹터 스케줄 12월 04일 화요일
·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 EU 재무장관 회의(ECOFIN)(현지시간)
· 거트잔 빌레흐 영란은행(BOE) 통화정책위원 연설(현지시간)
· 마크 카니 영란은행(BOE) 총재 연설(현지시간)
· 홍남기 부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 예정
· 김상환 대법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예정
· 홍종학·최승재 간담회 예정
· 한/EU FTA 이행위원회 개최(현지시간)
· 차세대소형위성 1호 발사 예정
· 게임 전용 스마트폰, 레이저폰2 출시
· 중국국제수입박람회 서울 세미나 개최
· 엔터메이트, 다크에덴M 정식서비스
· 편의점 자율규약안 발표 예정
· 3분기 국민소득(잠정)
· 11월 소비자물가동향
· 뉴트리 공모청약
· 이노메트리 공모청약
· 전진바이오팜 공모청약
· 한국유리 거래재개(정리매매)
· 현대미포조선 권리락(무상증자)
· 나노스 추가상장(유상증자)
· 상신전자 추가상장(무상증자)
· 광림 추가상장(유상증자)
· 네오디안테크놀로지 추가상장(유상증자)
· 디에이테크놀로지 추가상장(스톡옵션행사)
· 바이온 보호예수 해제
· 유로존) 10월 생산자물가지수(PPI)(현지시간)
· 영국) 11월 CIPS / 마킷 건설업 PMI(현지시간)
· 日) 11월 본원통화
——-
기술적 분석 특징주 A(코스피시장)
1. 고점돌파 종목(3개월기준, 1년 기준제외)
현대미포조선(010620) HSD엔진(082740) 태원물산(001420) KISCO홀딩스(001940)
2. 고점돌파 종목(1년 기준)
남선알미늄(008350) 한창제지(009460) 보해양조(000890) 진양화학(051630)
3. 첫 상한가 종목(3개월기준)
남선알미늄(008350) 태원물산(001420)
4. 연속 상한가 종목
없음
5. 당일 거래 급증 종목(10일 평균 거래대비)
남선알미늄(008350) 롯데케미칼(011170) 한창제지(009460) 보해양조(000890)
현대제철(004020) 대한유화(006650) 하나제약(293480) 디와이파워(210540)
LS(006260) HSD엔진(082740) 동국제강(001230) 남해화학(025860)
6. 단기 낙폭 과대 종목(10일 기준)
없음
7. 보조지표
① 단기 골든 크로스 MA(5,20)
남선알미늄(008350) 현대차(005380) 현대제철(004020) 삼성물산(028260)
하나제약(293480) 금호석유(011780) LS(006260) 키움증권(039490)
만도(204320) 효성화학(298000) 팬오션(028670) DB하이텍(000990)
② 중기 골든 크로스 MA(20,60)
SK(034730) 오리온(271560) 포스코대우(047050) 부국철강(026940)
동원F&B(049770) 동아에스티(170900) LF(093050) 제일파마홀딩스(002620)
③ 장기 골든 크로스 MA(60,180)
없음
④ 일목균형표(9,26) 전환선이 기준선을 상향돌파
LG화학(051910) 미래에셋대우(006800) 이월드(084680) 동국제강(001230)
경농(002100) 한국내화(010040) 코스모화학(005420) 디씨엠(024090)
JB금융지주(175330) 디와이(013570) 화승인더(006060)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227840)
⑤ MACD Osc(12,26,9) 0선 상향돌파
남선알미늄(008350) POSCO(005490) 삼성SDI(006400) 보해양조(000890)
SK이노베이션(096770) 현대모비스(012330) 대유에이텍(002880) 동국제강(001230)
한국내화(010040) 신대양제지(016590) 무림P&P(009580) 우진플라임(049800)
⑥ Stochastic slow(10,5,5) %K, %D 상향돌파
LG생활건강(051900) KT(030200) 디와이파워(210540) 한미약품(128940)
두산인프라코어(042670) 현대상사(011760) 성신양회(004980) 후성(093370)
대유에이텍(002880) 한국타이어(161390) HSD엔진(082740) 동국제강(001230)
⑦ Sonar(10,5) Signal선 상향돌파
삼성전자(005930) LG화학(051910) 삼성SDI(006400) 롯데케미칼(011170)
현대건설(000720) SK이노베이션(096770) LG전자(066570) 한국전력(015760)
신한지주(055550) 디피씨(026890) 대한유화(006650) LG디스플레이(034220)
⑧ CCI(9) 0선 상향돌파
삼성전자(005930) POSCO(005490) 롯데케미칼(011170) SK이노베이션(096770)
현대제철(004020) 현대중공업(009540) 신세계(004170) 삼성중공업(010140)
대한유화(006650) 삼성생명(032830) DSR제강(069730) 성신양회(004980)
⑨ RSI(14,9) Signal선 상향돌파
삼성전자(005930) SK하이닉스(000660) 삼성SDI(006400) 롯데케미칼(011170)
SK이노베이션(096770) LG생활건강(051900) 일진머티리얼즈(020150) 삼성중공업(010140)
대한유화(006650) LG디스플레이(034220) 삼성생명(032830) 쌍용양회(003410)
* 적출빈도 5회 : 남선알미늄(008350)
* 적출빈도 4회 : 대한유화(006650), 롯데케미칼(011170), 동국제강(001230), SK이노베이션(096770)
* 적출빈도 3회 : 삼성SDI(006400), HSD엔진(082740), 보해양조(000890), 현대제철(004020), 삼성전자(005930)
-----
기술적 분석 특징주 B(코스피시장)
1. 저점하회 종목(3개월기준, 1년 기준제외)
폴루스바이오팜(007630) 한솔제지(213500)
2. 저점하회 종목(1년 기준)
하나금융지주(086790) 미래에셋생명(085620)
3. 첫 하한가 종목(3개월기준)
없음
4. 연속 하한가 종목
없음
5. 단기 상승폭 과대 종목(10일 기준, 투자경고종목 포함)
없음
6. 보조지표
① 단기 데드 크로스 MA(5,20)
하나금융지주(086790) 휠라코리아(081660) 대한유화(006650) 대우조선해양(042660)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BNK금융지주(138930) 하나투어(039130) HDC(012630)
JB금융지주(175330) 동원F&B(049770) SPC삼립(005610) 화승엔터프라이즈(241590)
② 중기 데드 크로스 MA(20,60)
롯데정보통신(286940)
③ 장기 데드 크로스 MA(60,180)
메타랩스(090370) 삼일제약(000520) 문배철강(008420)
④ 일목균형표(9,26) 전환선이 기준선을 하향돌파
삼성전자(005930) 샘표(007540) 웰바이오텍(010600) 금호에이치티(214330)
⑤ MACD Osc(12,26,9) 0선 하향돌파
제일기획(030000) 우리종금(010050) JB금융지주(175330) 진에어(272450)
메리츠화재(000060) 아이마켓코리아(122900)
⑥ Stochastic slow(10,5,5) %K, %D 하향돌파
셀트리온(068270) 엔씨소프트(036570) KT&G(033780) 기업은행(024110)
한국콜마(161890) 현대중공업지주(267250) 한전KPS(051600) 우리들제약(004720)
현대백화점(069960) 티웨이홀딩스(004870) 대웅제약(069620) GKL(114090)
⑦ Sonar(10,5) Signal선 하향돌파
엔씨소프트(036570) 넷마블(251270) 카카오(035720) SK(034730)
한화케미칼(009830) 한국항공우주(047810) GS리테일(007070) 제일기획(030000)
동서(026960) 이노션(214320) 휴켐스(069260) 덴티움(145720)
⑧ CCI(9) 0선 하향돌파
오리온(271560) 인스코비(006490) 제일기획(030000) 샘표(007540)
오뚜기(007310) JW생명과학(234080) 티웨이항공(091810)
⑨ RSI(14,9) Signal선 하향돌파
엔씨소프트(036570) 넷마블(251270) SK텔레콤(017670) 한진칼(180640)
KT&G(033780) 코웨이(021240) 인스코비(006490) 제일기획(030000)
동서(026960) 이노션(214320) 휴켐스(069260) 티웨이홀딩스(004870)
* 적출빈도 4회 : 제일기획(030000)
* 적출빈도 3회 : 엔씨소프트(036570)
——-
기술적 분석 특징주 A(코스닥시장)
1. 고점돌파 종목(3개월기준, 1년 기준제외)
티케이케미칼(104480) 인터엠(017250) 마이크로프랜드(147760) 대신정보통신(020180)
영풍정밀(036560)
2. 고점돌파 종목(1년 기준)
STC(123260) 에스엔피월드(263920)
3. 첫 상한가 종목(3개월기준)
없음
4. 연속 상한가 종목
없음
5. 당일 거래 급증 종목(10일 평균 거래대비)
신라젠(215600) 티케이케미칼(104480) 인터엠(017250) 에스코넥(096630)
대보마그네틱(290670) 테라젠이텍스(066700) 제넥신(095700) 텔콘RF제약(200230)
서산(079650) 포스코엠텍(009520) 제이콘텐트리(036420) SG(255220)
6. 단기 낙폭 과대 종목(10일 기준)
없음
7. 보조지표
① 단기 골든 크로스 MA(5,20)
신라젠(215600) 포스코엠텍(009520) 아이크래프트(052460) 대신정보통신(020180)
국일신동(060480) 이엑스티(226360) 동진쎄미켐(005290) 에스앤더블류(103230)
HB테크놀러지(078150) 서연탑메탈(019770) 대동스틸(048470) 이오테크닉스(039030)
② 중기 골든 크로스 MA(20,60)
마이크로프랜드(147760) DSC인베스트먼트(241520) 삼일기업공사(002290) 와이엔텍(067900)
③ 장기 골든 크로스 MA(60,180)
대원미디어(048910) 인탑스(049070)
④ 일목균형표(9,26) 전환선이 기준선을 상향돌파
제넥신(095700) EG(037370) 이엑스티(226360) 동진쎄미켐(005290)
이지바이오(035810) 포스코 ICT(022100) 케어젠(214370) 루트로닉(085370)
글로벌텍스프리(204620) 대호피앤씨(021040) 휘닉스소재(050090)
⑤ MACD Osc(12,26,9) 0선 상향돌파
티케이케미칼(104480) 대신정보통신(020180) EG(037370) 크리스탈(083790)
고영(098460) 네패스(033640) 현대사료(016790) 알에프텍(061040)
앱클론(174900) 명성티엔에스(257370) 코나아이(052400) 더블유에프엠(035290)
⑥ Stochastic slow(10,5,5) %K, %D 상향돌파
티케이케미칼(104480) 텔콘RF제약(200230) 아난티(025980) 인콘(083640)
남화토건(091590) SG(255220) 세화피앤씨(252500) 제룡산업(147830)
이엑스티(226360) 오파스넷(173130) AP시스템(265520) 네패스(033640)
⑦ Sonar(10,5) Signal선 상향돌파
신라젠(215600) 에이치엘비(028300) 티케이케미칼(104480) 인터엠(017250)
메디톡스(086900) 테라젠이텍스(066700) 제넥신(095700) 텔콘RF제약(200230)
에코프로(086520) 삼천당제약(000250) 휴젤(145020) 포스코엠텍(009520)
⑧ CCI(9) 0선 상향돌파
신라젠(215600) 에이치엘비(028300) 메디톡스(086900) 스튜디오드래곤(253450)
텔콘RF제약(200230) 인콘(083640) 포스코엠텍(009520) 셀트리온제약(068760)
제이콘텐트리(036420) 코오롱생명과학(102940) 세화피앤씨(252500) 에스와이패널(109610)
⑨ RSI(14,9) Signal선 상향돌파
신라젠(215600)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 에이치엘비(028300) 메디톡스(086900)
텔콘RF제약(200230) 인콘(083640) 에코프로(086520) 포스코엠텍(009520)
제이콘텐트리(036420) 네이처셀(007390) 세화피앤씨(252500) 푸른기술(094940)
* 적출빈도 5회 : 포스코엠텍(009520), 티케이케미칼(104480), 텔콘RF제약(200230), 신라젠(215600)
* 적출빈도 3회 : 이엑스티(226360), 세화피앤씨(252500), 메디톡스(086900), 제넥신(095700), 인터엠(017250), 대신정보통신(020180), 에이치엘비(028300), 제이콘텐트리(036420), 인콘(083640)
-----
기술적 분석 특징주 B(코스닥시장)
1. 저점하회 종목(3개월기준, 1년 기준제외)
피씨엘(241820) 나노스(151910) 대신밸런스제3호스팩(253590)
2. 저점하회 종목(1년 기준)
티앤알바이오팹(246710) 네오펙트(290660) 코센(009730) KJ프리텍(083470)
한프(066110) 정원엔시스(045510)
3. 첫 하한가 종목(3개월기준)
없음
4. 연속 하한가 종목
없음
5. 단기 상승폭 과대 종목(10일 기준, 투자경고종목 포함)
STC(123260) 지어소프트(051160)
6. 보조지표
① 단기 데드 크로스 MA(5,20)
강스템바이오텍(217730) 에이치엘비생명과학(067630) 시너지이노베이션(048870) 필링크(064800)
비츠로테크(042370) 오스템(031510)
② 중기 데드 크로스 MA(20,60)
바이오솔루션(086820)
③ 장기 데드 크로스 MA(60,180)
매직마이크로(127160)
④ 일목균형표(9,26) 전환선이 기준선을 하향돌파
인트론바이오(048530) 크리스탈신소재(900250) 키이스트(054780) 삼강엠앤티(100090)
아이센스(099190)
⑤ MACD Osc(12,26,9) 0선 하향돌파
상신전자(263810)
⑥ Stochastic slow(10,5,5) %K, %D 하향돌파
에이치엘비(028300) 테라젠이텍스(066700) 스튜디오드래곤(253450) MP한강(219550)
네패스신소재(087730) 넥스트칩(092600) 아프리카TV(067160) SK바이오랜드(052260)
메디포스트(078160) 메가스터디교육(215200) 비에이치아이(083650) 매직마이크로(127160)
⑦ Sonar(10,5) Signal선 하향돌파
대아티아이(045390) MP한강(219550) 국영지앤엠(006050) 네패스신소재(087730)
컴투스(078340) 에스티큐브(052020) SK바이오랜드(052260) 제룡전기(033100)
비에이치아이(083650) 뉴프렉스(085670) 씨젠(096530) 레고켐바이오(141080)
⑧ CCI(9) 0선 하향돌파
MP한강(219550) 네패스신소재(087730) 아이진(185490) 우리기술(032820)
메가스터디교육(215200) 옵티팜(153710) 크로바하이텍(043590) 케이엠더블유(032500)
아우딘퓨쳐스(227610) 차이나그레이트(900040) 비덴트(121800) DB라이텍(045890)
⑨ RSI(14,9) Signal선 하향돌파
MP한강(219550) 아이진(185490) 메가스터디교육(215200) 큐브엔터(182360)
크로바하이텍(043590) SBI핀테크솔루션즈(950110) 지어소프트(051160) 하이셈(200470)
인탑스(049070) 체리부로(066360) KMH(122450) 이엘케이(094190)
* 적출빈도 4회 : MP한강(219550)
* 적출빈도 3회 : 메가스터디교육(215200), 네패스신소재(087730)
——-
[전일 장중 주요종목 공시]
● MP한강(219550) - ㈜뉴메딕 지분 15%(150,000주)를 195억원에 양수키로 결정(양수예정일:2019-06-28), ㈜퓨라섹 지분 51%(102,000주)를 51억원에 양수키로 결정(양수예정일:2019-06-28)
● 한미반도체(042700) - AT&S(충칭)[AT&S(Chongqing) Co.,Ltd.]와 9.69억원(매출액대비 0.49%) 규모 반도체 제조용 장비 공급계약 체결, Bosch Automotive Electronics India Pvt.Ltd.와 25.73억원(매출액대비 1.3%) 규모 반도체 제조용 장비 공급계약 체결
● 비에이치아이(083650) - SEPCO III와 239.40억원(매출액대비 7.4%) 규모 복합화력 발전설비 공급계약 체결
● 안트로젠(065660) - 수포성 표피박리증 완화 관련 특허 취득
● 더블유에프엠(035290) - 3자배정 유증 결정, ㈜바네사에이치 대상 20억원(발행가:2,555원, 상장예정:2019-01-10)
● 씨큐브(101240) - 2018년도 사업연도(제19기) 주당 150원 현금배당 계획(배당기준일:2018-12-31)
● 텔루스(196450) - ㈜디오스텍 지분 100%(204,000주)를 109.14억원에 양수키로 결정(양수예정일:2018-12-06)
● 명성티엔에스(257370) - 59.50억원 규모 유형자산(대구광역시 소재 토지 및 건물) 양수 결정
● 경동나비엔(009450) - 프탈레이트 품질관리기준 초과 일부 슬림매트(전기온수매트) 제품의 자발적 회수 결정
● 이녹스첨단소재(272290) - 주당 0.03주 주식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18-12-31)
● 엑시콘(092870) -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를 테스트 하기 위한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관련 특허 취득
● 코스맥스(192820) - 자가발포 기능을 갖는 리브온 타입의 마스크시트용 화장료 조성물 등 2건의 특허 취득
● 쌍용차(003620) - 18년11월 자동차판매대수 13,174대(전년동월대비 +9.0%)
● 현대중공업(009540) - 18년11월 누계실적 124.27만불(전년동기대비 +56.91%)
● 퓨쳐켐(220100) - 방사성의약품 신약 생산용 자동합성장치의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 European Commission) CE 인증 취득
● 대림B&Co(005750) - 166,722주(6.83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18-12-04~2019-02-28)
● 동아지질(028100) - 삼성물산주식회사로부터 186.61억원(매출액대비 5.5%) 규모 강릉안인화력 1,2호기 건설공사 중 송전선로 TBM굴착 및 수직구공사 수주
● 싸이토젠(217330) - 표적 세포 회수 방법 등 4건의 특허 취득
[전일 장마감 주요종목 공시]
● 현대차(005380) - 18년11월 자동차판매대수 403,381대(전년동월대비 -4.2%)
● 기아차(000270) - 18년11월 자동차판매대수 247,115대(전년동월대비 -3.8%)
● 파멥신(208340) - VEGFR-2와 DLL4에 동시 결합하는 이중표적항체에 관한 치료제로서의 용도 관련 미국 특허권 취득
● 삼화왕관(004450) - 20,000주(8.68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18-12-04~2019-02-28)
● 한국유리(002000) - 보통주 238,695주(129.61억원), 기타주식 100,508주(42.13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18-12-04~2019-06-18)
● 제이티(089790) - 에스케이하이닉스와 11.94억원(매출액대비 3.71%) 규모 Auto Merge 공급 계약 체결
● 하이비젼시스템(126700) - 33,300주(3.13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18-12-04~2018-12-10)
● 금비(008870) - 주당 1,200원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18-09-30)
● GS건설(006360) - 대구 만촌3동(수성32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시공자 선정, 성남은행주공아파트 재건축사업 시공자 선정
● HDC현대산업개발(294870) - 성남 은행주공아파트 재건축사업 시공자 선정
● 덕산하이메탈(077360) - 지주회사 적용제외
● 골프존뉴딘홀딩스(121440) - 주식회사 뉴딘플렉스 자회사 탈퇴
● 에코마케팅(230360) - 키워드 군집별 그룹 스코어에 기반한 키워드 광고에서의 자동 입찰 시스템, 방법 및 입찰 관리 서버 관련 특허권 취득
● 옴니텔(057680) - 주식회사 아티스 지분 18.13%(4,287,373주)를 162.92억원에 신규 양수 결정(양수예정일:2019-03-29)
● 팜스토리(027710) - ㈜한국축산의희망서울사료(대한민국) 주식 28,107,868주를 196.75억원에 추가 취득키로 결정(취득후지분율:56.21%, 취득예정일:2018-12-19)
● TBH글로벌(084870) - 홍콩소재 종속회사 TBH HONG KONG LIMITED 주식에 관한 풋옵션 이행
● 영우디에스피(143540) - 18,000,000주(182.70억원)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 결정(기준일:2018-12-18, 주당 약 1.47주 배정, 예정발행가:1,015원, 청약예정:2019-01-24~2019-01-25(구주주), 상장예정:2019-02-13)
● 화성산업(002460) - 진접농업협동조합으로부터 284.00억원(매출액대비 5.0%) 규모 진접농협 연평지구 종합시설 신축공사 수주
● 바른전자(064520) - 30,000,000주(162.60억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 철회, 공시번복으로 인한 불성실공시법인지정 예고(결정시한:2018-12-27)
● 아티스(101140) - 최대주주 대덕기연㈜ 및 최무형이 ㈜옴니텔에 보유 주식 4,287,373주를 162.92억원에 양도하는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 필옵틱스(161580) - 삼성증권 주식회사 신탁 등 대상 180억원 규모 사모 CB 발행 결정(만기:2023-12-10)
● 와이솔(122990) - 최대주주가 대덕전자㈜로 변경
● 이엠텍(09112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MP한강(21955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제이브이엠(05495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미래SCI(028040) - 70억원 규모 유형자산(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소재 토지 및 건물) 양수 결정
● 톱텍(108230) - 현직 임직원 등의 배임 혐의 발생,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관련 매매거래정지
● MP그룹(065150) - 기업심사위원회 심의 결과 상장폐지 결정
● EMW(079190) - 기업심사위원회 심의 결과 6개월의 개선기간 부여 결정
——-
◆12/4(화) 전일 미국 증시 동향
▶ DOW : 25,826.43 pt (287.97 pt, 1.13%)
NASDAQ : 7,441.51 pt (110.97 pt, 1.51%)
S&P500 : 2,790.37 pt (30.2 pt, 1.09%)
▶미국 3대 증시, 미-중 무역 휴전, 국제유가 급등 영향으로 1%대 상승
- 미국 3대 증시는 지난 1일 정상회담에 미국과 중국의 무역 휴전으로 최악의 상황을 모면했다는 안도감이 투자심리를 개선시킨 가운데,
- 사우디, 러시아 등 산유국들의 감산 의지 확대에 따른 국제유가 급등(+4.3%), 11월 ISM 제조업 지표 호조 등으로 에너지(+2.3%) 및 기술(+2.1%)을 포함한 대부분 업종이 강세를 보이면서 1%대 상승
- 트럼프는 미국과 중국이 큰 진전을 이루었다고 평가했으며, 므누신 장관도 양국간 진정한 Deal에 도달할 것이라고 밝히는 등 향후 협상에 대한 낙관론을 펼침
- 그러나 미국의 협상 대표로 대중 강경파인 미 무역대표부 로버트 라이저 장관이 임명됐다는 점, 주요 합의 사안에 대한 양국의 발표 내용이 다르다는 점은 향후 양국간 후속협상이 순탄치 않을 것임을 시사
- 업종별로, 에너지(+2.28%), 임의소비재(+2.21%), 기술(+2.11%) 등이 강세를 보였고, 필수소비재(-0.09%) 업종만 하락 마감함
——-
■ 12월 4일 마케팅 뉴스클리핑
1. 페이스북, 동영상 중간광고 서비스 시작
페이스북은 3일부터 동영상 중간광고를 한국에도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역량 있는 콘텐츠 크리에이터와 기업들이 동영상으로 이용자와 소통함과 동시에 이를 통한 수익 창출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다만, 모든 동영상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용자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소 3분 이상의 동영상을 이용자가 1분 이상 시청하는 경우에만 광고가 나타난다.
2. 다음 아고라 15년 만에 '역사 속으로'
한때 온라인 최대의 여론광장으로 꼽혔던 포털 다음의 '아고라'가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다음은 3일 공지를 통해 "아고라 서비스를 2019년 1월 7일 종료한다"고 밝혔다. 카카오 관계자는 "사회 흐름의 변화에 따라 다음 아고라는 소임을 다한 것으로 판단했다"며 "선택과 집중에 따른 종료"라고 말했다. 다음은 이와 함께 여성용 게시판 서비스 '미즈넷'도 내달 14일 종료하기로 했다.
3. 일본에서 카카오택시 부를 수 있다
일본에서도 카카오택시를 호출할 수 있는 서비스가 시작된다. 카카오모빌리티와 일본 최대 모바일 택시 호출 서비스를 운영하는 재팬택시가 오는 6일부터 한국, 일본 간 택시 로밍 호출 서비스인 '카카오 T 재팬택시'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택시 로밍 호출은 스마트폰 로밍과 같은 개념으로 기존에 이용하던 택시 호출 앱으로 해외에서 현지 택시를 호출할 수 있는 서비스다.
4. AI 스피커, ‘듣는’ 제품에서 ‘보는’ 제품으로
인공지능(AI) 스피커가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기존에는 단순히 답변을 들려주는데 초점을 맞췄다면, 이제는 해당 정보를 눈으로도 보여주는 AI스피커가 개발 중이다. 2일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PT)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트렌드를 말하며 화면을 탑재한 AI스피커가 이용자층과 활용 영역 확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5. 구글, 업무용 메신저 '행아웃' 2020년 서비스 종료
구글의 업무용 메신저 행아웃이 2020년 서비스를 종료한다. 1일(현지시간) 구글 관련 소식을 다루는 나인투파이브구글은 구글 내부 소식에 정통한 취재원을 인용, 구글이 2020년경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보도했다. 구글은 이를 시인했으며 정확한 시점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6. 카카오톡 채팅방에 '돈 뿌리기' 기능 추가
카카오페이는 3일 채팅방 송금 서비스에서 무작위로 돈을 나눠주는 '뿌리기' 기능을 추가했다. 3명 이상 채팅방에서 송금을 눌러 '뿌리기' 기능을 선택하면 된다. 원하는 당첨 인원과 금액을 설정할 수 있다. 친구들은 '줍기'를 통해 선착순으로 금액을 받을 수 있다. 카카오페이는 "좋은 소식이 있을 때 지인들에게 한턱 쏘는 문화에서 착안했다"고 밝혔다.
7. 리디 주식회사, IT 전문 뉴스 서비스 아웃스탠딩 인수
리디 주식회사는 IT전문 언론지 아웃스탠딩을 운영하는 주식회사 아웃스탠딩 컴퍼니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2015년 창간된 IT 전문 뉴스 아웃스탠딩은 광고 위주의 수익모델이 아닌 정액제 수익모델을 과감히 채택한 매체다. 아웃스탠딩은 기존과 동일하게 콘텐츠 생산에 집중하고, 리디 주식회사에서는 아웃스탠딩의 서비스와 이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지원에 주력할 예정이다.
——-
부동산뉴스 Daily brief_2018.12.4(화)
□ 반포주공 1·신반포 4…2.8兆 부담금 피했다
-서초구, 관리처분계획 인가, 반포·잠원 랜드마크 될 듯
□ 한강변 5300가구·3000가구 '매머드급'…강남 '富村 지도'가 바뀐다
-반포1·신반포4 재건축 인가, 반포1단지·신반포4지구 재건축 부담금 적용 안받는데다 한강 조망권에 최고급 특화설계…서울 최고가 단지 될듯 관리처분 인가 못받은 대치쌍용2차 등 사업 사실상 '스톱'
□ 내년 하반기 이주…당분간 전셋값 영향 없을듯
-반포1·신반포4 재건축 향후 일정, 분양계획·단지설계 등 조정 계획 이주비 대출 막혀 협상도 관건, 신반포4 7월, 반포1 10월 이주 땐 주변 전세시장 강세 보일 듯
□ 마지막 관문 넘은 강남 재건축…집값 다시 들썩일까
-9·13대책 이후 하락세 이어져 반포1 등 개별단지만 호재 전망, 재건축초과이익환수 적용받는 다른 단지는 영향 제한적일 듯
□ '4억 로또' 래미안리더스원, 10여가구 최종 미달
-예비당첨자 추첨 미계약 발생, 1순위 경쟁률 평균 41.69 대 1 전용 84㎡A 부적격 36가구 예비당첨자 추첨 20여명만 참석 분양업체 "잔여 가구 임의분양" 지역·가점계산 등 잘못 기입 전문가도 헷갈리는 제도 '문제'
□ 투기과열지구 3억 넘는 집 살 때 증여·상속여부 상세 기재 의무화
-'자금조달계획' 10일부터 강화
□ 홍남기 "주택 공급이 가장 중요한 집값 안정 수단"
-인사청문회 답변 제출, 공시가격, 실거래가 반영돼야 현실화 수준은 종합적 검토
□ '한남더힐' 81억 실거래…올 최고가
-전용 244.78 펜트하우스
□ 이재명 경기지사 "2020년 착공 아파트부터 후분양제"
-"경기도시公 공급 주택부터 시작"
□ 하계5단지 등 노후임대 재건축 속도낸다
-서울시, 주택공급계획 곧 발표, 용적률 150%→250% 상향, 준주거용 종상향도 검토, 5년간 1만가구 추가공급, 면허시험장, 철도차량기지 유휴용지 신규택지로 활용
□ DSR규제 전에 받자, 주택담보대출 400조 돌파, 한달새 4조↑
-가수요 몰려 2년3개월만에 최대폭, 주택공급물량 늘어 집단,전세대출도 증가
□ 분양승인 받고 모델하우스 열었는데 다음날 분양 승인철회
-수지 스카이뷰 푸르지오 분양승인철회로 청약일정 일단 연기
□ 덜 올랐던 서울 단독주택 '반짝' 상승
-아파트 줄줄이 하락세에도 전달 0.88%↑ 10년래 최고 재개발사업, 땅값 상승 영향
직장인 재테크 투자 필수정보 바쁘니까 뉴스모아 12/4